티스토리 뷰



범죄자를 따르고 그에 동화된 인질을 일컫는 말. 바로 스톡홀름 증후군 인데요. 범죄학이나 심리에 대해 관심 있으신 분이라면, 한번 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오늘은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할게요.



인질이 범인에게 오히려 동화 된다. 믿기지 않으신다고요? 하지말 실제로도 이런 사례는 충분히 있습니다. 스톡홀름 증후군 이라는 용어의 탄생에 시초가 된 사건이 바로 노르말름스토리 사건 인데요. 스웨덴의 수도인 스톡홀름에서 실제로 생긴 사건이라고 합니다.



1973년 8월 23일 부터 28일까지 스톡홀름 노르말름스토리의 크레디트반켄이라는 은행에서는 범인들이 은행을 점거하고 은행 직원을 인질로 잡았던 사건이 있었는데요. 신기하게도 범인들이 은행을 점거한 6일의 시간 동안 인질들과 범인들은 정서적으로 매우 가까워 졌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풀려난 인질들은 본인을 6일 이라는 시간 동안 잡아 둔 인질범들을 옹호하는 발언을 했는데요. 이러한 현상에 대해 범죄학자이자 심리학자인 닐스 베에로트는 스톡홀름 증후군 이라는 용어를 처음 썻다고 합니다.



'피해자들과 인질이 자신의 생존을 위협하는 과정을 겪는 와중에, 친절을 지각하게 되면 자신이 생존을 허락받았다는 희망과 더불어, 자신들의 구조에 대한 유일한 희망은 가해자가 보이는 친절 만이 전부다 라고 느끼게 되는 것' 이라고 임상 심리학자 그레이엄은 이에 대한 이론을 주장하기도 하는데요.



하지만, 미국 FBI에 따르면 스톡홀름 증후군 의 징후를 보이는 경우는 전체 인질의 8%가 채 되지 않는다고 하니, 이러한 증상을 겪는 것은 그리 흔한 이야기는 아닐 듯 합니다.



최근, 다양한 영화나 범죄 드라마에서도 이러한, 스톡홀름 증후군 에 대한 주제로 이야기를 다루기도 하는데요. 그러한 이야기가 실제로 일어날 확률은 아주 희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내가 만약 인질이 된다면 범인에게 동화될 수 있을까?' 이에 대한 답은, 본인 만이 내릴 수 있겠죠?



댓글